IT★_공부
Java기본
문또끼
2022. 8. 22. 20:32
Java기본
자바코드의 개념
type: 변수가 가진 데이터의 형태 변수: 값이 담겨진 것의 이름. = : 대입한다. 값 : 변수를 호출하면 리턴되는 값. ; : 명령문이 종료됨을 알리는 표식
type 변수 = 값;
(참고.)
낙타등 표기법(camelcase) :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인 경우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.
API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 :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미리 만들어 놓은 인터페이스.
Javadoc : 자바 소스에 문서화를 하는 방법.
변수 (variable)
-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붙여진 이름
- 변수를 통해 해당 메모리 번지에 하나의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음
- 변수는 정수, 실수 등 다양한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음
함수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리턴하고, 그 결과값을 메인 메소드에서 출력.
package com.test01;
public class MTest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plusMinus(24));
//plusMinus 함수를 출력하되, 변수를 (int input)을 24를 대입해서 출력해라.
}
//plusMinus()함수
public static boolean plusMinus(int input) {
boolean res = false;
int a = 3;
int b = 5;
int tmp = a++ + ++a + ++a + b++ + --b;
res = (tmp == input)? true : false; //tmp = input
//tmp 가 input 과 같은가? 참이면 true : 아니면 false를 res에 담아라.
return res;
//res를 리턴해라.
//res = true 따라서
// 매개변수 int input가 24일 때, plusMinus()함수 의 결과값은 true 가 됨.
}
}
연산자를 사용하여 su의 각 자리수를 모두 더하여서 출력하자.
package com.test01;
public class MTest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su = 1234;
int a = (su/1)%10;
int b = (su/10)%10;
int c = (su/100)%10;
int d = (su/1000)%10;
int sum = a + b + c + d;
System.out.println(su + "의 각 자리수의 총 합은 " + sum + " 입니다.");
}
}